서울대공원 Seoul Grand Park 서울대공원 Seoul Grand Park

즐겨찾기 설정

공원가이드

동물원

식물원ㆍ정원

산림휴양

신청ㆍ참여

대공원 다多이슈

야구장

공원소개

 
시민정원 Citizen Garden Award
금상-숨, 고래는 아직 노래한다

『모비딕』에서 영감을 얻은 이 정원은 푸르게 일렁이는 작은 바다입니다.
하얗게 뻗은 나무는 바다 위로 솟아오르는 고래의 숨결을 표현하며, 바람을 따라 은은히 울리는 풍경소리는 자연을 돌아보고 귀 기울일수록 더욱 길고 깊어질 고래의 노래입니다.

주요 식물종 : 삼색버들, 장미조팝나무, 델피늄, 라벤더, 은사초

made by 김경태

은상-청오원(淸塢園)

맑을 청, 울타리 오, 동산 원의 뜻을 담아 스스로 맑아지고 회복하는 자연 정원을 의미한다.
전통 정원의 요소인 화오는 자생식물과의 조화를 이루고, 화오 안에 담겨있는 식물이 스스로 자정하고 순환하는 지속 가능한 정원이다.
이는 인간의 손보다 자연의 시간이 공간을 완성해 나가는 청오원만의 철학을 담고 있다.
흐르는 시간 속에 당신과 청오원

주요 식물종 : 냉초, 두메부추, 땅나리, 바위채송화, 백리향, 뱀딸기, 벼룩이울타리, 산마늘, 큰제비고깔

made by 지윤초,최윤주,추정윤

동상-다시, 피어나

자연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잠시 머물 뿐.이 정원은 황폐해진 땅위에서 다시 피어나는 생명의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기다림을 지나 변화를 걸쳐 회복해가는 정원의 흐름을 지겨봐주세요.
이 기다림의 끝에 생명이 다시 숨 쉬는 이곳, 당신도 잠시 쉬어가기를 바랍니다.

주요 식물종 : 청단풍, 개쉬땅나무, 말채나무, 에베레스트사초, 가우라, 이끼용담

made by 김윤서,이지은,정경준,박예원

입선-시간의 캡슐: 녹색 희망을 담다.

타임캡슐에는 '지구를 지키겠다'는 현재 우리의 간절한 소망이 담긴다.
이 캡슐이 미래에 녹색의 희망을 보여줄지 오염된 현실만을 기록하게 될지는 오로지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결국 이 공간은 '나무를 심을 것인가, 아니면 쓰레기를 묻을 것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현재의 행동이 미래를 결정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주요 식물종 : 은사초, 알리움, 데이지, 밥티시아, 솔체꽃, 사계코스모스

made by 권수민,김채원

입선-영소(營巢) – 둥지를 짓다

영소(營巢)는 생명의 안식처인 둥지를 통해 지구 회복의 메시지를 전한다.
영소는 둥지를 만드는 행동을 뜻하며, 자연 소재로 만들어진 둥지는 시민들이 함께 완성하는 열린 구조물이다.
작은 참여가 기후 위기 시대의 생태적 실천으로 이어지며, 보는 정원에서 함께 짓는 정원으로 변모한다.
우리 정원은 공동체의 공간을 지향한다.

주요 식물종 : 목수국, 작약, 클레마티스, 으름덩굴, 데이지, 비비추

made by 이준혁,신민경,손효제

입선-작은 생명들이 꿈꾸는 초록의 나라

꿀벌은 과일·채소·곡물의 수분을 돕는 ‘자연계 배달부’예요.
하지만 요즘 꿀벌이 살기 힘들어졌죠.
그래서 곤충 전용 럭셔리 펜션, 곤충호텔을 마련했어요!
곤충에겐 휴식처를, 우리에겐 자연과 함께 웃는 공간을 선물합니다.

주요 식물종 : 삼색버드나무, 숙근버베나, 꽃양귀비, 델피늄, 라벤더, 물망초, 꽃잔디

made by 이나예주,김단비,김태기,김현수

입선-Green on black

“전원 끄기”로 지구를 지키세요!
기후 위기 속에서 우리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듭니다.
함께 “전원 끄기”를 실천하며 지구를 푸르게 되살릴 수 있다는 희망을 키워갑시다.
우리의 노력이 모여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

주요 식물종 : 셀릭스, 백두산털동자, 사계코스모스, 델피늄, 목마가렛, 청화국, 사계소국

made by 문선옥

입선-우리가 멈춘 자리에서

우리가 멈춘 자리에서, 땅은 물을 머금고 식물은 다시 고개를 들었습니다.
새로 만드는 것보다 자연에게 자리를 내어주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자연은 스스로 정화하고, 다시 살아날 힘이 있으니까요.

주요 식물종 : 가우라, 돌단풍, 붓꽃, 이베리스, 호스타

made by 김서영,심종현

학생정원 student Garden Award
금상-이음 다시, 살아갈 정원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해 작은생명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 정원을 통해 작은생명들을 회복시켜 지구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생명의 고리를 다시 잇고자 합니다.
우리의 정원이 그 작은 이음이 됩니다.

주요 식물종 : 열녀수, 국수나무, 샤스타데이지, 아스틸베, 블루세이지, 버들마편초

made by 이종운,김영수,박채린,정보나

은상-Bloom from Black

커피 한 잔의 끝에서 시작된, 지구를 위한 되돌림. 버려진 커피박에 생명을 불어넣어, 회복의 공간으로 되살렸다.
식재로 향하는 데크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길이 되어주며 데크와 식재의 대비로 상처 입은 자연이 회복되는 것을 보여준다.

주요 식물종 : 호스타, 애란, 데이지, 콩란, 백리향, 은쑥, 블랙로즈, 흑법사

made by 최현빈,구가온,김수연,신은혜

동상-숨 쉬는 뿌리, 되살아나는 자연

거친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뿌리를 내리는 맹그로브처럼, 작은 생명들이 뿌리 곁에서 피어나고 자연은 천천히, 그러나 분명히 회복을 시작합니다.
이 정원은 그 조용한 회복의 순간들을 우리에게 들려주려 합니다.

주요 식물종 : 노랑향수목, 털수염풀, 사계코스모스, 프렌치라벤더, 별정향풀

made by 안홍경,김현빈,백지민,황윤성

입선-스며들다

비는 지구의 열을 시기고 생명을 북돋우는 긍정적 자연 요소다.
하지만 도시의 빽빽한 건물들 사이에서 빗물은 대부분 버려진다.
우리는 이 정원에 빗물이 스며들게 하고, 더 나아가 사람들의 마음도 이 정원에 스며들게 하려 한다.

주요 식물종 : 무늬버들, 황매자나무, 홍띠, 샤스타데이지, 밀사초, 은사초, 비비추, 꼬리풀, 솔정향풀

made by 황시연,박용준,배지우

입선-Softouch; I care you

어머니의 포근한 손수건이 아픈 아이를 감싸듯, 이 곳에서는 지구를 위한 치유의 손길을 건넵니다.
우리의 따뜻한 마음들이 실로 연결되어 하나의 손수건처럼 지구의 상처 위에 조용히 내려앉습니다.
이 정원에서 우리는 지구를 향한 위로와 따뜻한 마음을 건네고, 함께 손잡고 걸어가는 아름다운 미래를 꿈꾸게 됩니다.

주요 식물종 : 은사초, 쑥부쟁이, 가우라, 프렌치라벤더, 은쑥, 털수염풀, 에키네시아

made by 이수연,이수양,김재원

입선-年崋롭게: 시간의 흐름으로 되살아나는 자연

자연은 생명이 사라졌던 땅 위에도 조용히 다시 말을 건다.
작은 이끼와 들풀에서 시작된 회복은 기후위기의 상처를 어루만진다.
정원 속 돋보기는 자연의 회복 과정을 보여주는 조용한 대답이며, 우리는 그 속에서 상실 너머의 희망과 자연의 힘을 배운다.

주요 식물종 : 러시안세이지, 꼬리풀, 위치타블루, 자엽국수, 백리향

made by 장태민,정승연,이도엽,김은민

입선-머무르자, 싹트다

벌과 나비와 같은 수분매개자가 머문 자리에는 새로운 생명이 싹튼다.
우리는 씨앗 모양의 곤충호텔이 덩굴로 뒤덮이며 싹트는 모습을 통해 수분매개자의 역할을 장기적 프로젝트로 담아냄과 동시에, 그들이 쉬어갈 수 있는 정원을 만들고자 한다.

주요 식물종 : 으아리, 기린초, 꼬리풀, 수크령, 은쑥, 스마그라드

made by 김소현,조성희

입선-초록실로 엮은 숲

자연은 모든 생명체의 터전이자 보금자리이다.
지금까지 훼손된 자연을 이전의 순수한 상태로 돌려놔야 한다.
찢어진 자연이 다시 엮어 하나의 자연으로 되돌린다.
우리가 보전해야할 자연은 보호되어야할 우리의 터전이다.

주요 식물종 : 보스턴고사리, 더피고사리, 호야, 황금세덤, 접란, 비단이끼

made by 오현희,최준영,김연수,김동영